글
들뢰즈와 이데올로기
narre
2006. 6. 28. 00:23
이데올로기라는 개념은 많은 복잡한 형식을 취하고 있지만, 일반적으로 그것은 어떻게 개체들이 자신들의 관심들에 반해서 행동하게 되는지를 설명한다. 그러므로 이데올로기는 억압을 은폐하는 상상적인 차원의 생산물로 보인다. 가령 여성이 연애소설을 읽고 결혼의 이상과 자신을 동일시한다면, 그들은 자유롭게 가부장제의 게임 속에서 수동적인 볼모가 되기를 묵인하는 것이다. 그렇다면 이데올로기는 어떻게 경제적이거나 물질적인 착취가 이미지들에 의해 은폐되는지를 설명하는 방식이라고 할 수 있다.
들뢰즈의 초월론적 방법은 이데올로기와는 상당히 다른 비판의 형식이다. 이데올로기는 은폐된 진정한 관심들이 존재한다고 가정해야만 한다. 즉 '실재로(really)' 해방되기를 원하지만 속고 있어야 한다. 따라서 해방되기를 기다리는 표준적인 (normative) 개체 형식을 가정해야 한다. 하지만 들뢰즈의 초월론적인 관점에 따르면 이런 실재적 관심과 본질적인 개체는 가정할 수 없다. 즉 본래의 여성이 있고 이데올로기 속에서 잘못 재현된 여성이 있다기 보다는, 이미지들로 코드화된 여성이 존재할 뿐이다. 때문에 초월론적 방법은 '인간'이나 '인간적 관심들'과 같은 추정된 항들로부터 시작하지 않는다. 그것은 거꾸로 그런 항들이 강도들로부터 어떻게 역사적으로 합성되는지를 보여준다. 이데올로기와는 반대로 이것은 욕망이 정치에 의해 억압되는 것이 아니라 코드화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들뢰즈의 임무는 이러한 이미지들로부터 도망가는 것이 아니라 이미지들의 생산을 드러내고 강화하는 데 있다. 왜 우리는 스스로를 사회적 시민들과 남성과 여성의 이미지에 제약시키고 있는가? 우리는 다른 것이 되지 않는가?
-클레어 콜브록 ,<질 들뢰즈>
들뢰즈의 초월론적 방법은 이데올로기와는 상당히 다른 비판의 형식이다. 이데올로기는 은폐된 진정한 관심들이 존재한다고 가정해야만 한다. 즉 '실재로(really)' 해방되기를 원하지만 속고 있어야 한다. 따라서 해방되기를 기다리는 표준적인 (normative) 개체 형식을 가정해야 한다. 하지만 들뢰즈의 초월론적인 관점에 따르면 이런 실재적 관심과 본질적인 개체는 가정할 수 없다. 즉 본래의 여성이 있고 이데올로기 속에서 잘못 재현된 여성이 있다기 보다는, 이미지들로 코드화된 여성이 존재할 뿐이다. 때문에 초월론적 방법은 '인간'이나 '인간적 관심들'과 같은 추정된 항들로부터 시작하지 않는다. 그것은 거꾸로 그런 항들이 강도들로부터 어떻게 역사적으로 합성되는지를 보여준다. 이데올로기와는 반대로 이것은 욕망이 정치에 의해 억압되는 것이 아니라 코드화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들뢰즈의 임무는 이러한 이미지들로부터 도망가는 것이 아니라 이미지들의 생산을 드러내고 강화하는 데 있다. 왜 우리는 스스로를 사회적 시민들과 남성과 여성의 이미지에 제약시키고 있는가? 우리는 다른 것이 되지 않는가?
-클레어 콜브록 ,<질 들뢰즈>